박민우 이사님의 "모바일 풀브라우징과 웹표준화 논쟁"라는 ZDNet korea의 컬럼을 읽고나서 몇가지 잘못된 논거들이 보여 지적하고자 몇자 적게 되었습니다.
이 글에서 사용하고 있는 거친 표현들을 좀더 긴글을 재미있게 읽으시란 취지로 양념삼아 넣어둔 것입니다. 애교스럽게 봐주시길 바랍니다.
구글 착각과 착시 효과
"풀브라우징"에 대한 논쟁은 지난 몇년간 계속되어 오던 유무선 컨버전스 동향과 모바일 산업의 변화의 맥락으로 이해를 해야지, 단순히 구글과 애플 효과만을 가지고 이야기하는 것은 지나친 비약이라 생각합니다. 극단적인 예를 들면 어떤 연쇄살인 사건이 생겼다고 해서 그 살인자 때문에 살인에 대한 이슈가 생겼다고 하는 것과 같은 것 아닐까요 ?
누가 뭐래도 여기서의 본질은 단지 하나의 현상인 어떤 사건이 아니라, 본질인 범죄 자체에 대한 문제인 것입니다. 우리는 늘 본질적인 문제를 찾고 접근해야 합니다. 그것이 본질적이고 핵심적인 문제를 파악하도록 해주는 유일한 길이니까 말이죠.
다시 본론으로 돌아가 말씀드리면, "풀브라우징"은 단지 구글/애플 효과 때문만은 아니고, 웹은 근본적으로 서로 통하고자 하는 내재적 특성이 있고, 그렇기에 모바일에서의 웹도 이처럼 "소통하기 위한 내재적 특성"을 발현시키기 위해 풀브라우징에 대한 이야기를 내게 되는 것이죠. 그리고 WAP이 아닌 유선 콘텐츠와 소통하고 싶다는 모바일 산업의 욕구가 반영되어 있는 것이구요.구글효과 ? 절대 아닙니다. 모바일 산업의 변화 과정의 일환으로 나타나는 현상들일 뿐이지, 구글효과는 핵심이 아닙니다. 제 생각에는 박이사님 같이 구글효과로 재단을 한다면, 세상의 모든 것이 전부 구글효과로 보일 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구글교처럼 말이죠.
풀브라우징 표준화 ?
생뚱맞게 옆집 아저씨 뒷다리 긁듯이 왜 갑자기 풀브라우징 표준화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는지 모르겠습니다. 게다가 그동안 문제처럼 보이던 이야기들 - 예를 들면 위피 같은 것들 - 을 "표준"이라는 미명하에 뭉뚱그려서 함께 이야기를 하셨더군요. 풀브라우징 표준화에 대해 누가 어떤 이야기를 했었는지는 모르지만 중국의 동북공정 만큼이나 쌩뚱맞은 이야기라 생각되네요. 그리고 "풀브라우징 표준화"라는 용어는 없으며, 설령 누군가 한다 하더라도 모바일 웹 표준화와는 아무 관련이 없습니다.
솔직히 저도 표준에 대해서는 아직 잘 모르지만, 표준에 대해 이야기를 하셨으니 몇가지 잘못된 논거들을 지적해보겠습니다.
1) 공인인증서를 표준화 하였고, 그 표준화 기술로 ActiveX를 활용하게 되었고, 유례없는 삽질이 되었다 ?
* 공인인증서 표준화와 ActiveX 활용이 무슨 상관관계가 있나요 ? 옆집 순이가 철수와 눈맞아 야밤도주 한 것은 인터넷 메신저를 사용했기 때문이니, 야반도주의 책임은 인터넷 메신저가 져야 한다는 논리인가요 ? 아니면 옆집이라서 문제였다는 것인가요 ?
다시보는 어린이 명작동화도 아니고 황당하네요. 이게 표준화의 문제와 무슨 상관이죠 ? 오히려 표준과 무관하게 ActiveX로 암묵적이고 지배적인 표준화를 시도했던 업체들의 편의주의 때문 아닌가요 ? 그런 업체의 편의주의로 인한 삽질이지, 표준화로 인한 삽질은 아닙니다. 만약 이것을 구분하지 못하신다면 핵심을 잘못 짚으신거죠.
2) "웹 2.0 표준화"는 불필요하다 ?
웹2.0은 구분의 필요성에 의해 탄생했던 용어로, 표준화 단체를 만들어서 표준 스펙을 정하고, 철학과 기술을 도입하여 성공한 기업이 웹2.0 기업은 아니라는 이야기를 하셨습니다.
제 이야기에는 “표준은 웹2.0과 아무 상관없다”는 이야기를 하시기 위해 이렇게 돌려서 이야기하신게 아닌가라 생각도 드는데, 이것은 무척이나 결과론적이고 현상학적 분석이라 생각됩니다.
제 느낌으론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의 문제를 갖고, 어떤 아이가 단지 농부의 자식으로 태어났으니 얘는 농부 이상이 될 수 없고, 필연적으로 농사꾼이 되어야 한다는 논리로 강변하시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박민우 이사님의 소망과는 달리 웹2.0이 표준화 단체를 통해 성공했던 것은 아니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웹2.0은 표준화의 중요성을 더욱 돋보이게 하고 있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AJAX나 RSS는 표준이라는 약속이 있었으니까 가능했던 것이니까 말이죠.
3) “학계 표준 대 업계 표준”
- 많은 대학과 정부산하의 연구단체의 역할 중 하나가 표준화이다. 지나친 일반화로 표준화를 역할을 하지 않는 조직도 많으므로 전제 자체가 틀렸습니다.
- “풀브라우징과 같은 모바일 웹 환경에 대한 표준화” 라는 전제 자체가 틀렸습니다. 풀브라우징은 풀브라우징이고 모바일 웹 표준화는 모바일 웹 표준화입니다.
- “표준화 과정이 일부 대기업과 소위 전문가 기득권 집단의 자화자찬 식의 토론장이 되거나, 특정집단의 이익을 위한 표준화가 되어서는 안된다. 연구집단은 자신들의 업적을 보여주기 위해 무리하게 표준화를 시도하거나 소수의 반대의견이 무시되어서는 안될 것이다”는 원론적인 이야기는 100% 맞는 이야기입니다.
하지만 어떤 근거로 이런 이야기를 하셨는지 모르지만, 이 문구는 자칫 현재의 모바일 웹 표준화가 이런 방향이라는 식으로 호도할 위험성이 다분해 보입니다.
제가 박민우 이사님과 같은 식으로 표현을 해볼까요 ?
“어떤 컬럼을 쓴다는 것이 소위 전문가의 자화자찬 식의 토론장이 되거나 본인의 단편적인 지식과 개똥철학을 씨부리는 장소가 되거나, 특정 개인의 목적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홍보의 용도로 사용되어서는 안된다. 전문가가 자신의 지적수준을 보여주기 위해 무리하게 글을 쓰거나, 다양한 시도들을 무시하는 식으로 글을 써서는 안될 것이다”
누군가 이런식의 글을 쓴다면 어떤 느낌이 드실까요 ?
- “기업들이 자기 비용을 써가면서 기술을 만들었다면 그 만큼의 책임과 손해를 감수하고 시도하는 것이니 많은 대화와 이해를 통해서 지원해야지 길을 돌리려고 해서는 안된다”는 이야기는 너무 타령조입니다. 누가 누구를 지원하는 것인가요 ?
자신의 비용을 써가며 기술을 만들었다는 것은 독자 기술을 추진한다는 것이고 위험을 감수하겠다는 것인데, 여기에 왠 생뚱맞게 “대화와 지원”이라는 것이 필요한가요 ? 개방형 구조는 개방형 구조고, 표준은 표준이고, 독자 기술은 독자 기술입니다. 폐쇄적 구조를 통해 독점적 이윤을 원한다면 그런 독점에 따른 risk taking에 대한 책임은 경영의 ABC 아닌가요 ?
기업이 살아남는 것은 누군가의 혜택에 의해서가 아니라 스스로의 판단과 비전에 의해 살아남는 것입니다. 그 책임은 누구의 탓이 아니라 스스로의 탓인 것이죠.
- 모바일OK 표준화에 대한 위피를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한다는 지적은 적절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특정 집단의 이익을 대변해서는 안된다는 원칙적인 이야기도 반드시 지켜야할 원칙이겠죠.
그러나 “일본이나 유럽에서 시행착오를 거쳐 표준화가 되어가고 있는 시점에서 우리는 새롭게 시작하고 있다”는 지적은 또다시 생뚱맞은 이야기네요.
모바일 웹에 대한 표준화는 2005년 W3C에서 추진된 것이고 현재의 국내의 모바일OK 표준화는 이런 W3C의 국제 표준화에 공동으로 보조를 맞추며 진행하는 것입니다. 여기에는 일본과 유럽의 경험이 현재적으로 반영되고 있는 것으로, 한국과 무관한 상황이 아님에도 흡사 다 된 것들을 시도하고 있는 것처럼 호도할 수 있는 문구로 표현을 하셨습니다. 이 또한 문제가 있는 것 같습니다.
4) 경험을 자산화하자 ? 뭘 ?
- 표준 개발은 표준 개발이고, 표준의 시행은 분명 다른 문제입니다. “유선환경 조차도 표준화되지 못한 상태에서 유무선 표준화를 급격하게 추진하는 것은 더 심각한 혼란을 가져올 수 있다”는 논리는 “쌀이 없으면 모두 굶어 죽어야 한다”는 논리와 같다고 생각됩니다.꼭 그럴까요 ? 유선환경이 비표준화는 ActiveX로 도배되었던 한국의 특수성에 기인한 문제이지 전세계적인 문제는 아닐 것입니다.
그리고 이런 한국적인 특수성을 일반화시켜 그렇기에 유선이 문제가 있는 상황에서 무선도 하지 말자는 이야기는 모두 굶어 죽자는 황당한 논리와 같다고 생각합니다. 여기서도 유선은 유선이고, 무선의 문제는 무선의 문제입니다. 유선의 문제는 유선에서 해결해야 하고, 무선의 문제는 무선에서 해결해야 하는 것입니다.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닐 것입니다.
- 지난 번부터 트랜스코딩에 대한 이야기들을 자주하시는데 제 느낌에는 오히려 뭔가의 사업적 연관성이 있지는 않으신가란 생각마저도 드네요. 트랜스코딩을 사용해서도 국내의 포탈화면을 제대로 볼수 없는 문제는 웹접근성을 고려하지 않은 유선환경의 콘텐츠 자체에 문제가 있는 것이고, 이는 유선환경의 콘텐츠의 웹접근성과 상호호환성을 높여야 한다고 접근해야지 것이지, 이런 유무선의 환경의 뒤섞으며 현실적인 문제 운운하는 것은 문제의 핵심에서 한참을 비껴가는 것 같습니다. 유선 콘텐츠의 문제는 유선 콘텐츠의 문제일 뿐이고, 그것은 그런 관점에서 해결해야 하는 문제입니다 !!- "과도기적 기술을 포용할 수 있는 표준화"란 의미가 너무 추상적입니다. 트랜스코딩의 기술을 포용할 수 있는 표준화를 해야 한다는 의미신가요 ? 도대체 "완벽한 표준화가 되기 위한 선험 조건"인 과도기적 기술이 뭔가요 ?
5) 표준은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만드는 것이다 !!
- 표준은 다수의 사람을 이롭게 하기 위한 것이라는 표현은 동감하지만, 지나치게 감성주의적이고 이상적입니다. 오늘날의 표준 전쟁이 단지 사람들을 이롭게 하기 위한 수단만은 아니라는 현실은, 표준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으셨거나 표준을 만드는 과정에 참여를 해보셨다면 쉽게 이해가 되실 것입니다.
- 마지막으로 표준은 만드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지는 것이라고 하셨는데, 지금까지 인류 역사상 표준이 자동으로 저절로 만들어진 경우는 단 한번도 없을 것입니다. 모든 표준은 필요에 의해 합목적적으로 만드는 것이지, 신의 계시나 자연의 섭리에 의해 저절도 또는 수동적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기 떄문이죠. 물론 누구나 이상적으로 저절로 만들어지길 원하지만 그런 경우가 어디 있나요 ? 그건 단지 꿈속에서나 가능한 일일뿐이죠.
- 오히려 표준화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적극적으로 참여를 하시는게 더욱 바람직하지 않을까요 ? 감나무 밑에 누워 표준이라는 감이 저절로 만들어져 떨어지길 기다리기 보다 말이죠.
- 근데 표준은 만들어지는 것이다는 비판과와 로긴 기반의 자료 공개와는 무슨 상관이죠 ? 죄민수처럼 “아~ 무 이유없어..”인가요 ?
지금까지 장황하게 박민우 이사님이 쓰셨던 컬럼에 대한 반박문을 적어보았습니다.
솔직히 핵심적인 논지가 없는 글에 대해 핵심적인 논지를 잡아서 쓴다는 것이 쉽지는 않네요.
제 결론은 그렇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모바일OK 표준화에 관심이 많으시다면 직접 참여하셔서 이야기하시는 센스도 필요하지 않은가란 코멘트도 드리고 싶네요.“풀브라우징 표준화”라는 것은 없으며, 유무선의 문제를 함께 연계시켜서는 안되며, 표준화는 중요하며, 표준을 만들기 위해서는 뼈를 깎는 노력들을 해야 하고, 단편적인 지식으로 세상을 손쉽게 재단해서는 안된다는 것입니다.
참고:
- 풀브라우징이면 정말 다 될까 ? - 2 (@HOLLOBLOG)
풀브라우징이면 정말 다 될까 ? (@HOLLOBLOG)
휴대폰 풀브라우징, 무선 인터넷에 혁명을 가져올 것인가? (@ZDNet)
'Mobile Web 2.0 > MobileOK'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주간의 이슈 - LGT, 터치웹폰, LH3200, 모바일 브라우징, 저렴한 요금 (3) | 2008.03.24 |
---|---|
LGT의 모바일 인터넷 개방이 옳다 (5) | 2008.03.22 |